전체 글 4

RHEL7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IC) 이름 변경 방법

RHEL7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IC) 이름 변경 방법 서버 NIC가 내장이냐 외장이냐에 따라 Linux에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명칭이 달라진다. 때로는 이것을 eth0~N으로 바꾸고 싶을때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바꿀 수 있다. Step 1. Edit the Grub configuration file 수정 #vi /etc/default/grub Step 2. Locate the line “GRUB_CMDLINE_LINUX=” 에 net.ifnames=0 biosdevname=0 파라미터 추가 예시)GRUB_CMDLINE_LINUX="crashkernel=auto net.ifnames=0 biosdevname=0" Step 3. Grub configuration 리빌드: BIOS 시스템이냐 UEFI ..

Network 2023.03.05

RPM 패키지 버전 명명 규칙

RPM 패키지 버전 명명 규칙 rpm 은 Red Hat Package Manager 또는 RPM Package Manager 의 약자로 기존 슬랙웨어의 tar.gz 방식의 패키지 관리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rpm 방식으로 패키징된 소프트웨어는 .rpm 이라는 확장자를 갖게 되며 파일명의 명명규칙은 아래 예시와 같다. [예시] [패키지명]-[벤더의 릴리즈버전].[package rebuild 버전].[build target].[아키텍처] # rpm -q firefox firefox-24.7.0-1.el7_0.x86_64 firefox : package의 이름 24.7 : 소프트웨어 공급자가 배포한 릴리즈 버전 0-1 : Red Hat에서 package가 rebuild 되어질 때 마다 지정( 여기선 1..

Package 2023.03.05

Linux에서 파일의 타입

Linux에서 파일의 타입 Linux에서 파일의 타입은 ls -alrt 명령어로 조회가 가능하며 Linux에서는 여러 타입의 파일이 존재한다. 속성 파일 타입 - 일반적인 파일 d 디렉토리 l symblic link 파일 c character special 파일로 데이터를 bytes 스트림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파일을 말한다. 예를 들어 터미널(tty) 장치가 있다. b block special 파일로 block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파일을 말한다. 예를 들어 block device 장치가 있다.

File 2023.03.01

Device의 major, minor number란 무엇인가?

Device의 major, minor number란 무엇인가? Linux에서 device는 하나의 파일이며 그 파일들을 통해서 device를 관리한다. 또한 device 파일들은 Major와 Minor Number를 갖는데 그렇다면 Device의 Major와 Minor Number란 무엇인가? /dev 디렉토리에서 ls -alrt 명령어를 수행 해보면 device들의 Major와 Minor Number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Major number는 어느 driver(module)을 통해서 장치가 관리되는지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number이다. 즉, device가 같은 major number를 갖고 있다면 그 device는 같은 driver(module)로 관리되어진다. 예를 들어, 위 그림에서 ..

Device 2023.03.01